가슴 성형했는데 유방 검사 가능 한 가요 ? | |||||
---|---|---|---|---|---|
작성자 | 관리*** | 등록일 | 2015-07-04 12:04:23 | 조회수 | 697 |
첨부파일 | 첨부파일 없음 |
'유방암 검진을 하다가 보형물에 이상이 생기지 않을까?' , '유방 성형 보형물때문에 검진결과가 제대로 나올까?' 라는 걱정을 가지고 내원하시는 분들이 많다.
하지만 결론은, 유방성형 특히 대한민국에서 주로 시행되는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확대술의 경우에는 보형물에 의해 유방촬영사진이 잘 나오지 않는다거나, 보형물에 이상이 생긴다거나, 검진결과가 바르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다. 왜냐면, 우리나라 여성 유방의 특성상 유방조직과 흉근(가슴 바닥을 이루는 근육층) 사이 공간, 즉 유방, 그 밑층이 아니라, 대흉근 밑으로 보형물을 삽입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유방사진을 촬영할때 반드시 보형물 수술의 과거력을 알리고 보형물 앞에 존재하는 유방조직을 당기고 보형물은 뒤로 밀면서, 엑스레이를 찍어야 한다. 물론, 이 작업을 시행하는 방사선사의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 유방촬영의 질은 차이가 날 수 있다.
다음은 유방초음파의 경우다. 초음파로 유방암이 있는지 검사할 때, 보형물로 성형한 후라도 보형물이 터지거나, 검사결과가 부정확하거나 하는 문제는 유방조직을 가리는 구조물이 없기에 당연히 발생하지 않는다.
초음파 유도하에 시행되는 조직검사나 세포검사 역시, 조직검사의 바늘 방향을 근육하방으로 향하지만 않는다면 보형물이 터지거나 하지 않으며 혹을 조직검사 할 수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유방을 확대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성형술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어서, 자가지방이식, 실리콘이나 콜라겐 등등의 미상액체 주사주입 등은 기본적인 구조와 삽입으로 발생한 구조를 구분할 수 없어 악성결절(암)로 오인될 수 있으며 구분이 어려워 진단적 정확성이 떨어지고 불필요한 추가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이런 술식의 성형술의 경우 시술후 통증이 흔히 발생하고, 시간이 흐르며 유방 확대의 효과도 떨어지기에 권유하고 싶지 않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
158 | 유방암 재발, 얼마나 자주 일어나요? | 관리*** | 2016.11.09 |
157 | 유두에서 피가 나면 유방암인가요? 저 심각해요? | 관리*** | 2016.11.08 |
156 | 지인은 유방에 물혹때문에 조직검사했다는데, 내 물혹은 | 관리*** | 2016.11.08 |
155 | 역형성암이 뭐여요 ? | 관리*** | 2016.11.07 |
154 | 양성 어쩌구, 악성 어쩌구, 음성 어쩌구..... | 관리*** | 2016.11.07 |
153 | 가슴이 크면 유방암에 잘 걸리나요 ? | 관리*** | 2016.11.07 |
152 | 산후 갑상선염 꼭 치료해야 할까요 ? | 관리*** | 2016.11.04 |
151 | 0기암도 있어요? 1기도 아니고? | 관리*** | 2016.11.04 |
150 | 유방암 검진 결과가 ‘치밀유방’이라는데, 모유수유 할 | 관리*** | 2016.11.03 |
149 | 여성형 유방증 환자, 유방암에 걸릴까요? | 관리*** | 2016.11.03 |
148 | 건강검진상 이상소견? | 관리*** | 2016.11.02 |
147 | 치주질환과 유방암 발병? | 관리*** | 2016.11.02 |
146 | 유방 파제트병 ? | 관리*** | 2016.11.02 |
145 | 암인지 아닌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조직검사뿐인가요? | 관리*** | 2016.09.10 |
144 | 그 때 알았더라면........... | 관리*** | 2016.09.09 |
0개의 코멘트가 있습니다.